년차 계산 하는 법, 기준 헷갈리시나요? 년차수 계산하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년차 계산을 하는 이유
년차 계산은 보통 퇴사하실 때 퇴직금 문제 때문에 계산하시거나 경력직으로 이직을 하실 때 따져보느라 계산해 보실 거예요. 마치 우리나라만의 만 나이 같은 개념이라 헷갈릴 때가 많이 있습니다.
년차 계산 하는 방법
예비군을 예시로 들어볼게요. 예비군 훈련을 처음 받은 날이 1년차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021년 5월 5일에 예비군 훈련을 처음 받았다고 하면 2022년 1월 1일부터는 2년차가 되는 겁니다. 예비군 훈련 년차수는 단순히 연도가 바뀌는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근로경력 같은 경우에는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회사 같은 경우에는 만근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만 1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021년 5월 5일에 입사를 했다고 하면 2022년 5월 4일까지가 1년차이고, 2022년 5월 5일부터가 2년차가 되는 겁니다. (만 1년 + 1일)
* 임대차 계약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3년차부터 임대료를 올려주기로 했다고 했을 때 여기서 말하는 3년차는 만 3년이 기준이 아닌 연도가 바뀌는 시점을 기준으로 햇수로 3년이 되는 날부터 인상할 수 있다는 판례가 있다고 합니다
(2021년 5월 5일에 임차를 시작했다고 하면 2023년 1월 1일부터 임대료 인상)
결론적으로 연도가 바뀌는 시점을 기준으로 잡을 것이냐, 만 1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잡을 것이냐 차이입니다.
이 점을 유의하시면서 년차수를 계산하시면 되시겠습니다.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자녀 기준 3명에서 2명으로 조건 완화 공공문화시설 이용 무료, 반값 등 혜택 총정리 (0) | 2023.05.17 |
---|---|
어제부로 전기요금이 또 올랐습니다. 전기세 아끼는 방법 되새겨보세요. (2023년 2분기 전기료 인상) (0) | 2023.05.16 |
네이버 카페 회원가입이나 등업 필요 없이 글보는 두가지 방법 (0) | 2023.05.15 |
2023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120만원 지급 받으셨나요? (0) | 2023.05.14 |
꿈을 매일 꿔요. 꿈 많이 꾸는 이유와 꿈을 꾸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feat. 치매) (0) | 2023.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