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월세 신고제 계도기간이 1년 연장되었습니다. 전월세 신고제는 미신고 시에 과태료 부과 대상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월세 신고제란?
주택임대차 신고제라고도 불리며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임대차 3법 중 하나로 전세나 월세 계약 시 30일 내에 계약 당사자, 보증금, 임대료, 임대기간 등 계약사항을 지자체에 신고해야 하는 제도이다.
※ 기존의 확정일자 없이도 전월세 신고만 하면 임대차보호법에 적용 가능
전월세 신고제 대상 및 과태료
- 전세보증금이 6천만 원을 초과하는 계약
- 월세가 30만 원을 초과하는 계약
※ 전세보증금이 6천만 원 미만이거나 월세가 30만 원 미만이면 신고 의무 없음
※ 소유자가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 일부를 임대하는 경우에도 신고 의무 없음
※ 2021년 6월 이후의 계약만 신고 의무 있음
- 계약 이후 30일 이내 미신고 시 4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과태료가 부과
- 거짓 신고 시에는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
전월세 신고제 신고 방법
- 오프라인 : 임대차 계약서 사본을 지참하고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서류 작성 및 신고
- 온라인 : 부동산 거래관리 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신고 가능
※ 임대인이나 임차인 한명만 신고해도 되며 위임을 받은 공인중개사가 대리 신고도 가능
반응형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졸 취업 장려금, 대학 장학금 지원 제도 (0) | 2023.06.14 |
---|---|
한부모가정 조건 중 제일 중요한 부분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3.06.12 |
근로장학생 장학금 지원 (2023년 2학기 SPC그룹) (0) | 2023.06.11 |
주민등록증 유효기간 생긴다고 합니다 (국가 신분증 운영 표준 제정) (0) | 2023.06.10 |
마포구 저소득가구 안경 제작 지원 받으세요 (1인 소득207만원 이하) (0) | 2023.06.09 |
댓글